월렛커넥트(WalletConnect, WCT)의 원화마켓 상장은 국내외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상장 개요, 가격 변동, 프로젝트 개요, 상장 관련 이슈, 그리고 커뮤니티 반응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월렛커넥트(WalletConnect) 프로젝트 개요
월렛커넥트(WalletConnect)는 2018년에 개발된 오픈소스 블록체인 지갑 연결 프로토콜로, 사용자가 자신의 가상자산 지갑을 다양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과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돕는 Web3 통신 표준입니다.
QR 코드 스캔이나 딥링크를 통해 모바일 및 웹 지갑과 dApp을 간편하게 연동할 수 있으며, 거래 승인을 직접 지갑 내에서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현재는 메타마스크, 트러스트월렛 등 주요 지갑과 이더리움, 폴리곤 기반의 디앱에서 업계 표준처럼 채택되어 온체인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최근 월렛커넥트 팀은 네트워크의 탈중앙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자체 거버넌스 및 인센티브 구조를 갖춘 월렛커넥트 토큰(WCT)을 출시했습니다. 이 토큰은 옵티미즘(Optimism) 메인넷에서 발행되었으며, 수수료 지불 수단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스테이킹, 서비스 및 게이트웨이 노드 인센티브 지급, 거버넌스 참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WCT의 총 발행량은 10억 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중 27%는 재단 운영, 18.5%는 팀 몫, 또 다른 18.5%는 에어드롭과 커뮤니티 보상으로 분배됩니다. 나머지는 스테이킹 보상, 초기 투자자, 핵심 개발 등에 할당되어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월렛커넥트는 이제 단순한 지갑 연결 도구를 넘어, WCT를 중심으로 한 거버넌스 기반의 탈중앙 네트워크로 진화 중이며, 3,5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사용자들과 함께 Web3의 온체인 연결성을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2. 원화 마켓 상장 개요
2025년 4월 16일,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은 월렛커넥트 토큰(WCT)을 원화 마켓에 상장했습니다.
- 업비트: 오후 6시부터 KRW, BTC, USDT 마켓에서 거래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 빗썸: 오후 7시부터 KRW 마켓에서 거래를 개시했습니다.
* 두 거래소 모두 옵티미즘(Optimism) 네트워크를 통해 입출금을 지원하며, 타 네트워크를 통한 입금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거래소상장 일시 (KST)지원 마켓입출금 지원 및 기타 사항
거래소 | 상장 시간 | 거래 가능 마켓 | 상세 정보 |
---|---|---|---|
업비트 | 2025년 4월 16일 18:00 | KRW, BTC, USDT | 네트워크: Optimism (옵티미즘) 입출금은 공지 후 약 2시간 내 개시 상장 공지 시 참고 가격: 약 456.9원 (4/16 14:30 기준) |
빗썸 | 2025년 4월 16일 19:00 | KRW | 네트워크: Optimism 입출금은 공지 후 약 1시간 내 개시 (50컨펌 필요) 차트 기준가: 653원 (최초 체결가가 아닌 기준가로 차트 시작) |
바이낸스 (참고) |
2025년 4월 15일 20:00 | USDT, USDC, BNB, FDUSD, TRY |
바이낸스 런치풀(Launchpool) 통해 최초 공개 2025년 4월 15일 20:00 (KST) 스팟 거래 상장 |
3. 원화 마켓 상장 이후 가격 및 거래량 추이
WCT는 상장 직후부터 강한 변동성을 보이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4월 15일 바이낸스 등 해외 거래소에 처음 상장된 WCT는 약 $0.40, 한화 약 520원 수준에서 거래를 시작했으나 곧 초기 에어드롭 물량이 시장에 쏟아지면서 $0.27까지 급락했습니다.
하지만 이내 반등세가 나타나며 가격은 $0.65, 약 850원 선까지 급등했고, 이후 일부 조정이 발생하면서 $0.47 수준으로 다소 안정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특히 4월 16일 업비트 상장 소식이 전해지자 WCT 가격은 하루 만에 36% 이상 상승해 사상 최고가인 약 $0.58, 한화 약 77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국내 상장 시점 기준으로 WCT의 전일 글로벌 종가는 약 483.9원이었으며, 상장 당일 오후 2시 30분에는 456.9원으로 소폭 하락한 상태에서 거래가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업비트와 빗썸에서 거래가 본격적으로 개시되면서 단시간 내에 700원대를 돌파하는 급등세를 나타냈습니다.
이처럼 급격한 가격 상승은 한국 투자자들의 집중 매수세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신규 상장 코인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강한 기대감과 ‘상장빔’을 노리는 심리가 WCT 가격을 단기적으로 끌어올린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가격 급등과 함께 거래량도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상장 직후 WCT의 전세계 24시간 거래량은 1700% 이상 증가하여 약 9억 1천만 달러, 한화 약 1조 2천억 원에 달하는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업비트와 빗썸의 원화마켓이 주요 거래소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4월 16일과 17일 양일간 WCT는 업비트에서 거래량 1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코인마켓캡 기준으로도 4월 17일 WCT의 24시간 거래대금은 약 4,880억 원에 달하며, 주요 거래소에서의 활발한 거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급등 이후에는 단기 조정세가 발생하면서 일부 차익실현 물량이 출회되었고, WCT 가격은 $0.55 선으로 소폭 하락한 뒤 현재는 $0.40~0.45, 한화 기준 약 500원에서 600원 사이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최근 24시간 기준으로는 약 6%의 하락이 있었지만, 일주일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어 시장의 관심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초기 급등 후 조정 과정을 거치고 있는 WCT는 향후 거래 안정화와 함께 보다 명확한 흐름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어,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추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원화 마켓 상장 관련 이슈
이번 월렛커넥트(WCT)의 업비트 및 빗썸 원화마켓 상장은 국내 가상자산 업계에서 이례적인 이중 상장 사례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상장 전후로 다양한 제도적, 기술적, 시장 반응 측면에서의 이슈가 제기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혼란과 궁금증을 유발하기도 했습니다.
① 트래블룰에 따른 입출금 제한
WCT는 옵티미즘(Optimism)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으로, 업비트와 빗썸 모두 해당 네트워크만 지원합니다. 하지만 트래블룰(Travel Rule)로 인해 입출금 가능한 외부 지갑이 제한되었고, 특히 초보자들은 자산 이동에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
② 초기 거래 안정화 장치로 인한 호가 제한
빗썸은 상장 직후 ‘시장 안정화’를 위해 매수 제한 시간(5분)과 ±10% 매도 호가 제한을 설정했습니다. 이는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지만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자유로운 거래를 막는 제한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③ 에어드롭 물량 출회 및 시장 매도 압력
상장 초기, 바이낸스 런치풀 및 에어드롭 물량의 매도세가 몰리며 가격이 하락하기도 했고, 커뮤니티에서는 덤핑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구조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일반적인 상장 초기 현상에 가깝습니다.
④ 김치프리미엄 유발 가능성
상장 당일, 해외 거래소 시세와 국내 시세 간 가격 괴리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과도한 매수 심리로 인해 국내 거래소에서 프리미엄이 발생한 사례로 해석됩니다.
5. 국내외 커뮤니티 반응
① 국내 커뮤니티 – 기대감과 뜨거운 유입
국내 투자자들은 업비트와 빗썸의 동시 상장에 대해 기대감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거래에 참여했습니다. 특히 "국민거래소 상장 = 펌핑"이라는 공식이 재현되며 WCT는 업비트 거래량 1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② 해외 커뮤니티 – 한국 시장의 ‘상장빔’에 놀라다
레딧, 트위터 등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한국 투자자들의 강력한 매수세와 가격 펌핑에 주목하며 "김치 프리미엄", "업빗 효과" 등의 표현을 사용하며 놀라움을 드러냈습니다.
③ 장기 투자자들의 엇갈린 전망
일부 투자자들은 WCT의 장기 가능성을 보고 보유 의지를 나타냈으나, 일부 분석가들은 토큰 실사용성 부족을 우려하며 구조적 가치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마무리: 뜨거운 관심 속 이성적 접근 필요
월렛커넥트(WCT)의 원화마켓 상장은 전 세계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한국 시장의 움직임을 다시 주목하게 만든 사건이었습니다. 실제로 업비트와 빗썸의 동시 상장 소식은 WCT 가격 급등의 트리거 역할을 했고, 국내 투자자들은 다시금 ‘상장빔’의 진원지가 되었음을 입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 뒤에는 과열, 유통 물량 구조, 김치프리미엄, 규제 환경에 따른 제약 등 복합적인 이슈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단순한 단기 수익률에만 집착하지 않고, 프로젝트 본질과 생태계 성장 가능성에 대한 냉철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탭 S10 FE 시리즈 심층 리뷰 (2) | 2025.04.18 |
---|---|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종합 안내 (1) | 2025.04.17 |
미국의 관세 전쟁과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 (3) | 2025.04.15 |
2025년 전국 벚꽃 축제 완벽 가이드 (0) | 2025.04.11 |
2025년 꿈사다리 장학금 신청 꿀팁 대공개! (0) | 2025.04.09 |